실존주의 교육 철학과 분석적 교육 철학
20세기 후반에는 실존주의와 분석적 교육 철학이 등장합니다. 우선 실존주의의 경우, 니체와 키에르케고르를 시작으로 퍼닙니다. 그리고 야스퍼스와 하이데거를 지나 사르트르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들은 현대 철학의 시초로 불리며 핵심적인 위치를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사르트르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로 말하고, '실존은 주체성이다.'라는 명제를 규정하며 실존주의를 설명합니다.
실존주의와 교육 철학
실존주의가 가진 모순된 입장이나 여러 사상으로 겹쳐진 측면에 있기 때문에 이를 교육 이론으로 연결하거나 도출하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실존 주체의 인격적인 만남, 나와 너라는 인격의 상호적인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볼노우나 부버와 같은 학자에 의하면 실존주의 교육철학도 정의내리기 가능합니다.
1) 실존적 주체로서의 학습자 개인이 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겨야 할 존재입니다.
이들은 인생과 사랑, 죽음과 같은 인간의 핵심적인 경험의 의미를 알아야 하고, 깊이 있게 사색하는 활동이 중요합니다.
2) 실존주의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지식은 인간의 존재 조건, 개인이 내리는 선택에 관한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교육은 학습자가 무언가를 스스로 선택할 자유 와 그 선택의 의미를 알고 책임 의식을 발달해가는 과정입니다.
3) 실존주의적 교육과정은 철학적 대화를 포함하여야 하며, 이를 토대로 한 경험 및 주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개인적 선택과 그 과정을 세밀하게, 생생하게 묘사하는 주제들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의미를 갖기 때문입니다.
4) 학교라는 공간은 학습자들이 동료로서 서로 만나는 장소이고, 이 안에서 자기 삶과 선택에 관해 대화하고 토론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학생끼리, 교사와 함께 서로 질문할 수 있고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언제나 대화에 참여가능한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실존주의 교육 철학의 문제점
1) 독자성, 개성을 소중히 여기고 개인 존재의 의의에 치중하는 바람에 개인의 사회적 측면을 경시하는 면이 있습니다.
2) 과학이 인간을 객체로 본다는 경향 때문에 과학적 사고를 배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삶의 과정을 비연속적인 것으로만 보려는 태도를 견지하는 것에서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태도는 인간 삶이 보다 넓은 연속적 영역과 비연속적 영역을 동시에 갖는다는 이중성을 경시하기 때문입니다.
4) 자유, 창조적 개인, 개인의 성장, 개성을 존중하는 경향 때문에 자유인으로서의 교사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렇지만 이는 인류가 가진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데 취약한 면이 있습니다.
5) 실존주의 자체가 침체되고 억압된 사회를 기본 대상으로 하므로 자유주의 국가에서는 이 사상이 힘을 갖기 어렵다는 점도 있습니다.
분석 철학
인간은 사실에 대해 학문적으로 표현하거나 질문할 때 말이라는 도구를 사용합니다. 그렇지만 말 또한 모호하고 의미가 불분명한 것이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 우리늬 표현과 질문도 모호해집니다. 비록 이런 질문에 대답을 한다고 할지라도, 그 대답이 진실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분석 철학자는 이 모호성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언어 분석, 즉 언어의 논리적 구조와 그 뜻을 밝혀 분명히 하는 법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러셀의 경우 복잡한 대상에 대한 궁극적인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분석이라고 보았고, 무어는 개념, 명제를 명료하게 하거나 정의 내리는 것을 분석이라 여겼습니다. 이처럼 분석 철학자들 간에도 개념차이가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통된 점은 철학의 명료성을 확립하려 한 점입니다.
분석적 교육 철학
분석적 교육 철학자의 대표는 런던라인 학파로 불렸던 피터스나 화이트, 허스트 등이 있으며 미국의 교육학계를 이끈 쉐플러, 솔티스, 파인버그 등이 있습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분석적 교육 철학은 개념에 대한 분석 방법을 통해 교육이 갖는 핵심 새념, 의미를 명료하게 드러내려고 했습니다. 또한 교육계에 있는 여러 주장들을 감토하고 정당화하는 작업에 흥미를 가졌습니다.
분석적 교육 철학의 의의
1) 교육철학을 독립적, 객관적 학문 분야로 성립하려는 노력을 했습니다.
2) 사고의 엄밀성과 명료성을 주었습니다.
3) 교화나 훈련, 벌과 자유, 권위 등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정당화하는 것을 검토했는데, 이 덕분에 교육이 갖는 윤리적 차원을 분명하게 해 주었습니다.
4) 교사에게 명료하게 생각하고 말하게 했습니다.
분석적 교육 철학은 1950년대 이후 영미에서 발생한 이후, 영어권 국가들을 필두로 하여 그 성격들을 많이 변화시켰습니다. 이에 교육 철학의 혁명으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중립, 공평을 공공연하게 언급한 분석 철학이 교육에 영향을 끼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우리의 삶이 과학적 진보와 통제 아래 살고 있고, 그것에 대한 믿음과 기술에 지배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분석적 교육철학도 1980년대에 들어 퇴조의 양상을 보이고 새롭게 변주하기도 합니다.
분석적 교육 철학의 비판점
1) 객관성 확보라는 과업으로 인해 언어와 논리를 탐구 대상으로 설정했는데, 언어와 논리가 가치중립적인 게 아니라는 점이 문제적입니다.
2) 객관적으로 교육 철학을 확립해야 한다는 데에 집착하다보니 언어의 의미, 논리적 전개와 그 과정에 대한 분석만을 중요하게 여김으로써 실천적 성격을 경시하고 말았습니다.
3) 교육에서 무시할 수 없는 정서적 측면이나 종합적 인식을 결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8 대입 제도 수능 개편 (50) | 2023.10.17 |
---|---|
비판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철학 (10) | 2023.10.11 |
존 듀이의 교육 이론 (50) | 2023.10.08 |
비고츠키의 생애와 업적 (8) | 2023.10.06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특징 (87)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