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철학의 특징
비판이론은 분석철학과는 상대적인 입장을 지니고,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극복하려는 사상입니다. 두 사조 모두 20세기 후기에 일어난 사상이며 이들은 교육 철학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객관성과 명료성을 중시한 분석철학이 시대의 현실에 초연하면서 언어의 구조와 의미, 중립된 진리를 탐구하는 것에 그치는 데 반해, 비판이론의 경우 앞선 철학들이 가진 초연함이 지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무책임한 것이라 주장합니다.
비판이론 교육 철학의 특징
비판이론은 독일,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이론에 근거한 교육은, 교육이라는 것이 사회, 정치, 경제의 제약과 억압 안에서 이뤄진다는 인식에 기초합니다. 그리고 이 억압 속에서 행해지고 있는 교육은 학습자의 자유와 주체성을 손상시킨다고 봅니다. 또한 제약된 사회 구조를 재생산하는 사회기구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고찰을 주장합니다.
비판이론 교육철학자들은 인간이 행하는 자유로운 사고와 대화를 억압, 왜곡하며 특정 집단을 소외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이러한 소외는 불합리하며 이러한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보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에 관해 논합니다.
비판이론의 체계를 이룬 하버마스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것이 주요 교육적 방안임을 주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해결력에 기반한 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관심을 갖습니다. 하버마스는 공동체가 처한 문제 해결, 학습자 개인의 문제해결력 발달에 필수적인 것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이라고 보았습니다. 이것이 매끄럽게 일어나려면 폭력과 강제에 빠져서는 안됩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타당한 합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프레이리는 '의식화'를 주장합니다. 이는 기존 교육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합니다. 기존 교육은 '은행저축식 교육'이라는 것입니다. 비판적 교육이론은 불합리한 사회적 요소들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목적이며 이 능력을 키우기 위해 의식화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제기식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아직은 무지한 학습자에게 일방향적으로, 단일적으로 지식을 강독하고 부여하는 '은행저축식 교육'과는 달리 교사와 학습자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상호작용을 하는 '문제제기식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비판이론 교육 철학의 영향
비판이론은 교육 철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인종과 젠더, 계급 등에 관한 논문을 보면 대부분 비판이론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론이 다소 추상적이고, 지식적인 언어 사용이 잦아 오히려 지식인 계급의 특권을 강화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습니다.
비판이론 교육 철학의 문제점
1) 비판의식이 지나쳐 인류의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것과 인간이 가진 다양한 능력을 개발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사회, 경제, 정치의 여러 조건이 교육의 출발점이라는 점, 비판의식도 이 조건에 의해 논의된다는 점을 간과합니다.
3) 교육을 사회, 정치, 경제 논리에 따라 해석하는 것에 치우쳐, 교육이 가진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경시합니다.
4) 비판이론가들이 주장한 교육적 방안의 현실성에 의문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실현될 수 있을 정도로 개방적인지 의문을 갖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항하여 등장한 사조입니다. 20세기의 산업사회를 지배했던 문화 논리는 모더니즘이었습니다. 모더니즘은 1920년대 이후 일어났는데, 중세 시대부터 이어져 온 교회의 힘과 봉건주의를 비판하며 과학적 사고에 기반하여 합리성을 강조하는 사상입니다. 넓은 의미로는 근대화를 지향하고, 좁은 의미로는 기계문명에 대한 소회와 감각을 중시하며 현대적인 분위기를 추구합니다. 이에 반해 포스트모더니즘은 반합리주의적 사상을 중심으로 합니다. 상대적 인식론을 전제로, 탈정전화와 유희적인 행복감을 추구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로는 데리다, 푸코, 라캉 등이 있습니다. 데리다는 타자에 대한 존중을 말하고 푸코는 그의 대표적인 저작 <감시와 처벌>에서 학교나 공장, 군대나 감옥과 같은 건물 형태가 보이는 규율과 형벌에 관해 다룹니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론을 재해석합니다. 나아가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포스트모더니티 이론을 강조하면서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이라 명명한 리오타르나 들뢰즈도 있습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철학
포스트모더니즘은 전통적인 지식관이나 교육관을 비판합니다. 지식이 가진 상대성과 이들의 문화적 맥락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에는 인간의 관심과 가치의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봅니다. 학습자도 교육 과정과 방법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그들의 관심과 능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모든 아동을 일반화되고 획일화된 교육과 수업 활동에 노출시키는 것은 그 의도가 아무리 훌륭하다고 할지라도 전체주의적인 조치라는 것입니다. 수사가 만든 교육 과정과 방법이 모든 아이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이런 기준으로 만들어진 교육은 엘리트 모델을 수용하게 하는 것이므로 부적절하단 것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철학의 의의
1) 지식을 중요시하고 교육 현장 안에서 발생하는 소수의 목소리를 존중합니다.
2)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이성을 극복하고 감성적 기능을 회복합니다.
3)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즉 전체주의적인 측면을 극복하고 다양성과 다원성을 존중합니다.
4) 권위주의를 극복합니다.
5) 지엽적이거나 특수하다고 여긴 삶의 문제에 의미를 부여하며 차이와 타자성을 존중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철학의 한계점
1) 도덕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가 미흡한 면이 있습니다.
2) 극단적인 이기주의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3) 이성을 경시함에 따라 삶이 불완성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합니다.
4) 교육이 가진 가치와 전통을 해체함에 따라 사회문화적인 재건에 대한 비전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5) 기존 전통과의 조화나 종합적인 사고에 대한 노력이 미합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스의 실재론적 교육 (19) | 2024.02.28 |
---|---|
2028 대입 제도 수능 개편 (50) | 2023.10.17 |
실존주의와 분석적 교육 철학 (50) | 2023.10.10 |
존 듀이의 교육 이론 (50) | 2023.10.08 |
비고츠키의 생애와 업적 (8)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