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김장김치 정보 및 김장 재료

by 슬로우 트레인 2023. 10. 20.

김장김치 정보와 김장 재료

 

김장김치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음식입니다. 김치는 담가 먹는 행위는 오랜 전통임에도 때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김장김치 정보와 김장 재료를 찾습니다. 김치로 겨울을 나고 다음 해까지 알차게 먹는 음식문화 덕분이겠죠. 이제는 김치를 사 먹는 비율도 높아졌고, 예전만큼 담가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김장철이 돌아오면 갓 만든 김치가 항상 생각나네요. 김장김치 정보와 재료, 뉴스로 김장철을 맞이하려 합니다.

 

 

 

 

 

 

김치의 의미

 

김치는 한국 전통 발효음식입니다. 소금물에 푹 절인 배추에 여러 채소와 양념을 버무려 매콤한 맛을 내어 먹습니다. 흔히 '김치'라고 말하면 배추김치를 말합니다. 그 외에는 무로 만든 깍두기나 알타리김치, 파김치, 갓김치, 겉절이, 열무김치, 고들빼기, 오이소박이, 백김치 등이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김치를 가지고 다양한 요리법을 구사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향토음식도 많습니다.

 

 

김장김치 담그는 법

 

가을과 겨울 사이가 되면 절임배추를 판매하기 시작합니다. 김장김치를 담그기 위해서입니다. 김장김치를 담그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배추절임

배추 4포기 (12kg)

소금(천일염) 4컵

물 2리터

 

2) 김치 양념

배와 양파, 쪽파 각각 200g

무 1kg

고춧가루 500g

마늘 170g

생강 1큰술

설탕과 소금 3큰술

매실청 1.25컵

까나리액젓 1컵

새우젓 반컵

찹쌀풀 (찹쌀가루 0.75컵에 물 500ml)

 

 

 

 

김장철만 되면 나오는 뉴스

 

김장김치가 철을 맞이하면 나오는 뉴스들이 있습니다. 바로 배추값인데요. 위에 제시한 김장김치 재료를 보면 절대 빠질 수 없는 게 배추나 소금입니다. 뉴스를 보면 배추와 소금 가격이 오르고 내린다는 말에 소비자들은 많은 걱정을 합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배추 가격을 확인해보면 19일 기준 1포기에 6,225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일동향을 살펴보면 가을배추가 산지지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시장 내에서 물량이 풍부하다고 합니다만 수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여 내림세에 거래되었다고 말합니다.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들어가면 농수산 가격과 일일동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at.or.kr/home/apko000000/index.action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aT

농식품 수출통합·선도조직 육성사업 업체 모집 신청서 접수기한 : 2023. 10. 31.(화) 18:00까지 정부 수매비축콩 공급 및 신규업체 모집 접수기간 : 2023.10.13(금) ~ 2023.10.20(금)

www.at.or.kr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스에서는 채소값 급등으로 김장김치 담그기에 소비자 걱정이 크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배추 농가의 농민들은 성수기를 앞두고 수요에 대한 왜곡이 염려된다고 말하며, 가을배추가 출하됨에 따라 하향 안정세가 될 것이니 보도를 신중히 해 달라고 당부합니다.

 

 

 

배추 이외의 채소값 상승 등이 반영된 소비자의 심리와 김장 대목을 앞둔 농가의 상황이 모두 반영되어 혼란스러운 모습이 이어지는 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한국인의 소울푸드인 김치, 때마다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언론은 섣부른 보도를 자제하고, 물가 또한 안정되어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