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조2 실존주의와 분석적 교육 철학 실존주의 교육 철학과 분석적 교육 철학 20세기 후반에는 실존주의와 분석적 교육 철학이 등장합니다. 우선 실존주의의 경우, 니체와 키에르케고르를 시작으로 퍼닙니다. 그리고 야스퍼스와 하이데거를 지나 사르트르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들은 현대 철학의 시초로 불리며 핵심적인 위치를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사르트르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로 말하고, '실존은 주체성이다.'라는 명제를 규정하며 실존주의를 설명합니다. 실존주의와 교육 철학 실존주의가 가진 모순된 입장이나 여러 사상으로 겹쳐진 측면에 있기 때문에 이를 교육 이론으로 연결하거나 도출하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실존 주체의 인격적인 만남, 나와 너라는 인격의 상호적인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볼노우나 부버와 같은 학자에 의하면 실존주의.. 2023. 10. 10. 현대 교육철학과 교육사조 현대 교육철학과 교육사조 현대의 교육철학은 흔히 브라멜드(brameld)가 구분지은 4가지 교육사조를 말합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현대철학의 영향을 받아 구성된 교육철학은 많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이를 정리하자면, 진보주의, 항존주의, 본질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이 될 것입니다. 1) 진보주의 진보주의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정치와 사회 상황에서 벌어졌던 민주화나 복지 체제의 개선 요구에서 시작됩니다. 특히 미국에서 옮겨온 운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치, 사회적인 개선 요구와 개혁운동은 1920년대에 이르러 약해지기도 했는데 진보주의 교육운동만이 지속적으로 진행됐습니다. 이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핵심은 성인중심, 교사중심 교육이었던 전통 교육 모델을 비.. 2023. 9. 28. 이전 1 다음